2024년

[14] 초수익 성장주 투자

100 BOOKS 2024. 6. 22. 20:04
반응형

 

「책 읽는 아빠」의 2024년 열네 번째 독서

 

"나는 15살에 학교를 중퇴해서 돈도 없고, 배운 것도 없었다. 하지만 지금 그런 나도 주식시장에서 큰 돈을 벌고 있다. 당신이 나보다 다은 성과를 거두지 못할 이유가 없다." 

 

마크 미너비니가 강조하는 두 가지

1. 상승하는 주도주에 올라타라.

2. 철저하게 손절하라. 

 

 

<주식의 6가지 범주>

 

1. 주도주

20% 이상의 영업이익 증가율

Catogory Killer: 브랜드와 시장 지위가 너무나 강력해서 자본이 무한하더라도 경쟁하기 힘든 기업

 

2. 최고 경쟁 기업

Home Depot vs. Lowe's

 

3. 기관 선호 기업

 

4. 실적 반등 기업(턴어라운드)

애플 - 2001~2003년 지지부진하다가 아이팟, 아이튠즈, 아이폰 등 신상품 출시로 엄청난 주가 상승

순이익률(NPM) 2003년 1,2% → 2011년 23.9% vs. 주가상승률 6,000%

 

5. 경기 민감 기업

수년에 걸쳐 기록적인 영업이익을 올린 후 PER 저점을 찍은 경기민감주를 매수하는 것은 단기간에 자금의 절반을 날릴 수 있는 검증된 투자법이다. - 피터 린치

 

6. 과거 선도 기업 및 부진 기업

 

<어닝 서프라이즈>

어닝 서프라이즈는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 추정치를 넘어서는 기업에 초점을 맞추고 마이너스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는 기업을 피하라. 성공적인 기업은 통상 30~40% 이상 늘어난 영업이익을 발표한다. 

기관은 어닝 서프라이즈, 매출 및 EPS 증가율 상승, 마진 확대, EPS 답보 구간 돌파, 견조한 연간 EPS 변화 등을 충족한 기업을 선호한다. 

 

<이익을 늘리는 세 가지 방법>

매출 증가, 마진 증가, 비용 삭감

이 중에서 비용 삭감은 주의해야 한다. 감원, 공장폐홰, 적자 사업부 정리 등을 통해 이익을 늘릴 수 있지만 대개 일시적인 효과에 그친다. 가장 이상적인 상황은 새로운 시장 및 시장 시장에서 신제품과 기존 제품의 판매량이 늘어나고, 가격은 오르로, 비용은 줄어드는 것이다.

 

Q. 코드 33? 

A. 매출액, 영업이익, 마진증가율이 3분기동안 상승하는 종목

 

Q. 별로 안 좋은 기업은?

A. 가격 결정력이 제한되어 있고, 사업이 자본집약적이며, 마진이 적거나 압박을 받고 있고, 엄격한 규제나 심한 경쟁 또는 둘 다 직면한 기업

 

Q. 재고 증가, 매출채권 증가의 의미는?

A. 재고와 매출채권이 매출보다 더 많이 증가한다면 안 좋은 신호다. 

 

Q. 사야할 종목이 여러 개 있으면 어느 종목을 먼저 사야 할까? 

A. 가장 강한 종목은 먼저 사라. 당신의 의견이 아니라 시장의 강세에 따라 어디에 돈을 놓을지 결정하라. 개인의 의견이 시장의 지혜보다 나은 경우는 드물다. 새로운 강세장의 초반에 가장 강력하게 부상하는 종목은 대개 초고수익을 낸다. 

 

Q. 차트는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A. 차트를 맹신하면 안 된다. 차트 패턴은 원인이 아니라 결과다. 과거 수급의 그림은 시장을 좌우하지 않는다. 시장을 좌우하는 것은 인간의 행동이다. 인간의 행동은 지금까지 변하지 않았고, 앞으로도 크게 변하지 않을 것이다. 

 

Q. 변동성 축소 패턴(VCP: Volatility Contraction Pattern)이란? 

A. 매수 지점이 오기 전에 특정 영역에서 변동성이 축소되는 동시에 거래량도 크게 줄어드는 패턴이다. 

 

Q. 기관의 움직임이 왜 중요한가? 

A. 그 종목에 대해 당신이 어떻게 생각하는지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것은 대형 기관들이 어떻게 생각하느냐다. 주가를 크게 움직이는 그드리기 때문이다. 

 

Q. 주식투자에 있어 가장 중요한 원칙을 하나 꼽는다면?

A. 손실의 엄청난 영향과 손절의 중요성을 이해해야 한다. 10% 손실이 나면 무조건 손절을 해서 손실을 제한한다. 이를 손실 조정 연습(Loss Adjustment Exercise)이라고 한다. 

 

Q. 당신이 틀렸다는 것을 어떻게 아는지? 

A. 주가가 떨어지는 것을 보고 안다. 그만큼 간단하다. 

 

Q. 리스크 회피? 

A. 리스크 회피가 아니라 리스크 관리를 목표로 삼아야 한다. 즉 리스크를 완화하고 손실 가능성 및 금액을 상당한 수준으로 통제해야 한다. 

 

Q. 거래 규모 조절은 어떻게 하는지? 

A. 거래가 잘 풀릴 때 규모를 키우고, 잘 안 풀릴 때 규모를 줄여라. 그러면 최선의 거래는 최대 규모로, 최악의 거래는 최소 규모로 하게 된다. 그래야 재난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큰 돈을 벌 수 있다. 

 

Q. 종목 수는 어느 정도로 유지하는지?

A. 대개 4~6개 종목을 보유한다. 포트폴리오 규모가 크다면 10~12개 종목을 보유할 수 있다. 

 

여성 의류와 모자, 장신구의 스타일은 시대와 함께 계속 바뀐다. 
마찬가지로 주식시장의 오랜 주도주는 몰락하고, 새로운 주도주가 부상하여 그 자리를 차지한다. 시간이 흐르면 새로운 주도주가 선두로 나선다. 
- 제시 리버모어

 

자신의 실패를 인정하지 못하는 패배재만이 하락주에 물을 탄다.
- 폴 튜더 존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