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애독자 여러분
「매년 100권 독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는 '책 읽는 아빠'입니다.
오늘은 아들이 읽어야 할 책을 제가 대신해서 읽어 보았습니다. 시중에 공부법에 관한 책이 많이 나와 있는데요. 대부분 부모를 대상으로 쓰인 책입니다. 그러나, 이 책은 중학생들이 읽을 수 있도록 쓰인 책입니다. 아들이 스스로 이런 책을 읽어주면 얼마나 좋을까요?
이런 책을 읽을 때마다 드는 생각은, 결국 공부는 본인의 의지와 목표가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은 스스로 목표를 세우고 시간을 잘 관리할 수 있으며, 스스로 탐구하는 자기주도학습 능력이 있습니다. 또 하나, 이 친구들은 어려서부터 책을 많이 읽어서 위대한 위인들을 롤 모델로 삼고 노력한다는 점이죠.
아아~ 부럽지만, 기다려야죠. 자기 마음대로 안 되는 게 세상에 딱 2개 있는데. 주식과 자식입니다. 뭐, 기다려야죠. 지금은 하루에 10시간씩 '리그 오브 레전드' 게임만 하고 있지만, 언젠가 정신을 차리고 스스로 공부하리라 굳게 믿습니다.
"공부는 인생의 가능성을 확장해 주는 일이다."
- 박소정, <중학생 공부의 모든 것> -
이 책은 다섯 개 파트로 구성되어 있고요, 맨 마지막은 과학과, 외고 등 명문고에 입학한 선배들의 합격 수기로 되어 있습니다.
사실 어떻게 보면 진부한 얘기입니다만, 중요한 것들을 정리해 볼게요.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의 성공 비결 두 가지
1) 계획을 세우고 공부하는 습관을 들인 것
2) 실현 가능한 계획으로 실천의 기쁨을 맛본 것
- 공부의 기본은 교과서
교과서를 세 번 정독한 후 요점 정리를 해라. 손으로 직접 써봐야 내 것이 된다.
- 메타인지
공부의 첫걸음은 나 자신의 역량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다. '메타인지'는 인지 과정에서 자신이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자각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 스펙보다는 경험을 강조하라
영재교육을 몇 년 다녔고, 어떤 대회에서 무슨 상을 수상했는지가 중요한 게 아니라, 그 과정에서 뭘 배웠는지, 그것의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해 강조하라.
- 문학 공부 대비
<국어 교과서 작품 읽기>를 읽으면 내신도 대비하고 문학적 감성을 기를 수 있다.
- 자기주도학습
선행학습을 해서 고등학교, 대학교 수준의 문제를 풀라는 의미가 아니다. 수학과 과학, 그 자체를 즐기면서 다양하게 문제를 풀어보는 연습을 하는 게 중요하다.
- 진로 선택에 도움을 준 책
과학자 : <현대 물리가 날 미치게 해>, <구글 스토리>, <슈퍼맨, 그게 과학적으로 말이 되니?>, <로봇 다빈치, 꿈을 설계하다>
수학자 :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뜨거운 몰입>, <수학 비타민>
교사 : <완득이>, <커피 우유와 소보로 빵>
변호사 : <13계단>, <우리는 천사의 눈물을 보았다>,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수레바퀴 아래서>,<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 <소크라테스의 변명>
인문학자 : <사회계약론>, <리바이어던>, <국부론>, <월든>, <페스트>, <논어>, <동물농장>, <열하일기>,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 계획과 실천이 결정한다. 학습 플래너를 사용해라.
효과적인 시간 관리를 위해 '프랭클린 플래너'를 써라. 해야 할 일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하루하루 내가 목표를 얼마나 달성했는지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다.
자신의 현재 모습이 미래를 결정짓지는 않는다는 거야.
본인의 노력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어.
- 박소정, <중학생 공부의 모든 것> -
'2021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006] 이웃집 워런 버핏 숙향의 주식 투자 이야기 (0) | 2021.01.30 |
---|---|
[005] 주식하는 마음 (0) | 2021.01.29 |
[004] 내가 예민한 게 아니라 네가 너무한 거야 (0) | 2021.01.28 |
[003] 초연결 (0) | 2021.01.27 |
[001] 나는 말하듯이 쓴다. (0) | 2021.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