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가치투자

[11] 한국형 가치투자 「책 읽는 아빠」의 2023년 열한 번째 독서 "주식투자 시작하기 전에 무슨 책을 읽어야 해요?" 만약에 누군가 나에게 딱 1권만 추천해 달라고 하면 주저 없이 이 책을 권하겠다. 왜냐하면 이 책은 주식투자의 이론과 실전을 모두 담고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벤저민 그레이엄, 피터 린치, 워런 버핏 등 투자 대가들의 투자 철학과 방법을 한국 시장에 실정에 맞게 소화하여 전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 이 책의 저자는 누구인가? 지난 몇 년간 성장주의 시대였기에 가치투자라는 말은 상당히 진부하게 들린다. 그러나 가치투자를 통해 2000년 초반부터 연복리 14%의 수익률을 기록한 두 명의 대가들이 있다. 이들은 대학생 시절부터 벤저민 그레이엄과 워런 버핏의 후계자처럼 우리나라에 가치투자 철학을 전파해 왔다.. 더보기
[052] 워런 버핏 바이블 2021 「책 읽는 아빠」의 2022년 쉰두 번째 독서 이 책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개최된 버크셔 해서웨이 주주총회 Q&A와 그간의 주주 서한을 주린이 눈높이 에 맞게 쉽게 풀어 쓴 책이다. 투자번역가 이건, VIP 자산운용 최준철 대표, 변호사 겸 투자자 홍영표 님이 함께 번역하고 해설을 단 책이다. 그간 워런 버핏의 Quotes를 언론과 책을 통해 많이 접해서 그런지 어디서 많이 들어본 것들이 많다. 그래도 버핏의 말씀은 늘 한결같다. 투자 세계에 있어 진리다. 반복해서 읽어서 온전히 내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 그럼 주옥같은 문장들을 인용해 본다. p.22 차입금에 발이 묶이지 않은 사람에게 주가 폭락은 놀라운 기회입니다. p.42 좁은 영역에 대해서나마 남들보다 더 많이 파악하고 있다면, 빈번하게 .. 더보기
[018] 구루들의 투자법 안녕하세요. 애독자 여러분! 「매년 100권 독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는 '책 읽는 아빠'입니다. 이 책은 이베스트증권 윤지호 센터장이 추천한 책입니다. 이 책의 장점은 우선 쉽게 쓰여있다는 점입니다. '구루'는 전문가나 권위자를 말합니다. 저자 찰리 티안은 가치투자 웹사이트 구루포커스닷컴의 창업자이자 CEO입니다. 찰리 티안은 이 책에서 그가 제일 존경하는 투자 구루인 피터 린치, 워런 버핏, 도널드 약트만, 하워드 막스로부터 배운 투자 철학을 대중의 눈높이에 맞게 쉽게 안내합니다. - 피터 린치 바보 천치라도 운영할 수 있는 회사에 투자하라. 늦든 빠르든 어떤 바보가 등장해 회사를 운영하게 될지 모르기 때문이다. - 워런 버핏 멋진 기업을 적당한 가격에 사는 것이 적당한 기업을 멋진 가격에 사는 .. 더보기
[014] 강방천의 관점 안녕하세요. 애독자 여러분 「매년 100권 독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는 '책 읽는 아빠'입니다. 이 책도 일단 두껍습니다. 하지만, 강방천 회장 특유의 간결한 문체 덕분에 가독성이 좋아 며칠 만에 읽었습니다. 저자 강방천 회장은 뭐 워낙 유명한 분이니 자세한 소개는 생략하겠습니다. 증권맨으로 시작하여 IMF 위기에 폭락한 증권주 등을 매수하여 종잣돈 1억을 156억 원으로 만든 전설적인 분이죠. 그 돈으로 에셋플러스 자산운용을 설립하여 '리치 투게더'라는 이름의 펀드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강방천 회장은 가치투자로 출발했지만 주식농부 박영옥 회장이나 한국밸류 이채원 전 사장같은 정태적 가치투자를 벗어나 동태적 가치투자로 발전한 투자자입니다. 다른 가치투자자들은 여전히 저PER 이나 저 PBR 같은 과거.. 더보기
[006] 이웃집 워런 버핏 숙향의 주식 투자 이야기 안녕하세요. 애독자 여러분 「매년 100권 독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는 '책 읽는 아빠'입니다. 오늘 읽은 책은 재야의 가치투자자로 유명한 '숙향'님의 책입니다. 저자 숙향 님은 벤저민 그레이엄 식의 저평가 가치주를 투자하는 분입니다. 이 책을 쓴 이유는 노동 수입이 끊어진 이후 자본 수입으로 살아야 할 시기를 미리 대비하고 은퇴와 관계없이 경제적으로 자유로운 삶을 만드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이 책에는 그의 30여 년 주식투자 경험이 그대로 녹아져 있습니다. 벤저민 그레이엄, 피터 린치, 워런 버핏 등 투자의 현인들의 주옥같은 명문장들을 인용하면서 본인의 투자 철학을 이야기하고 있고, 실제 투자 사례는 생생하게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의 주식 투자는 1985년 코리아 펀드에 대한 조사 업무를 하..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