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년

[057] 더 찬스

반응형

「책 읽는 아빠」의 2022년 쉰일곱 번째 독서

 

애널리스트 시절 '족집게'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김영익 박사의 신간이다. 리서치 센터장을 역임한 그는 현업 은퇴 후에도 언론과 유튜브 등을 통해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다. 특히 올해 하락장의 흐름을 정확히 예측하여 다시 한번 족집게라는 별명의 신뢰성을 더하고 있다. 그는 올해 증시가 상반기에 하락하다가 7~8월 반등 후 9월 재하락할 것이라고 주장했는데, 9월 초 현재까지 증시 흐름은 소름 끼칠 정도로 정확하게 일치하고 있다.

 

김영익 박사는 본인의 경험을 집대성해서 만든 계량모델을 사용한다고 한다. 물론 모델링도 과거의 수치에 의존하기 때문에 미래를 정확히 예측할 수는 없다. 그래도 높은 확률로 맞춘 김영익 박사를 신뢰하기에 이번 책을 읽게 되었다. 이 책 한 권이면 최근의 거시 경제와 자산 가격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고 자신 있게 말한다. 그럼 그의 가르침을 인용해 본다.


<1부> 부의 대전환이 온다.

 

p.16

위기가 왔을 때는 모든 자산 가격이 폭락한다. 그런데 또 다른 측면에서는 이런 때야말로 부를 늘리는 중요한 기회가 된다.

 

p.52

2000년 미국에서 IT 거품이 꺼지면서 이후 10년 동안 그렇게 탄력적이라는 미국 주가도 제자리걸음이었다는 사실을 잊지 말자. 거품이 한번 꺼지면 제자리를 찾기까지는 이처럼 지난한 시간을 견뎌야 한다. 

 

p.78

미국의 경제성장률이 둔화되고 있지만 세계 경제를 장기적으로 낙관할 수 있는 이유는 인도와 베트남 같은 아시아 국가들이 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2부> 글로벌 환율 전쟁과 투자 찬스

 

p.88

한 나라가 통화가치를 떨어트리면 다른 나라의 통화가치는 상대적으로 높아지므로 각국은 경쟁적으로 돈을 풀어 통화가치를 떨어뜨리려고 하게 된다. 이것이 바로 환율 전쟁의 본질이다.

 

p.114

중국 전기차 ETF를 사라. 이미 많이 올랐는데 조정이 있을 때마다 사라. 앞으로 5년, 10년을 내다보면 꺽이지 않을 추세이기 때문이다.

 

p.118

베트남은 인구 구조가 상당히 젊어서 인도처럼 계속 성장할 수 있는 나라다. 


<3부> 저성장 시대의 생존법

 

p.153

잠재성장률이 낮아니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노동력의 감소다. 생산연령 인구인 15~64세 인구가 2020년부터 감소세로 전환했다. 

 

p.172

2022년 하반기 이후에는 경기둔화에 따른 수요 위축으로 물가 상승률이 점차 낮아질 전망이다. 이 경우 장기금리가 먼저 하락하게 될 것이다. 이때부터 채권투자에서 이익을 낼 수 있을 것이다. 채권투자 비중을 늘려라. 주식은 저평가 영역이기는 하지만 경기 수축 국면에서 추세적 상승은 어렵다. 


<4부> 주가와 집값은 어떻게 될까?

 

p.175

주가는 장기적으로 오른다. 왜냐하면 우리나라 명목 GDP가 계속 성장하기 때문이다. 장기적으로 명목 GDP 성장률보다 주가는 1~2% 정도 더 높게 성장한다. 

 

p.185

지난 10년간은 미국 주가가 많이 올랐다. 미국 정부가 양적완화를 하면서 주가에 거품이 발생한 것이다. 이 거품이 꺼지면 회복하기까지 아주 오래 걸릴 것이기 때문에 미국 주식 투자비중을 좀 낮추는 걸 권한다. 

 

p.195~196

부동산 가격이 한번 하락세로 전환하면 한 방향으로 꽤 오랫동안 지속된다. 

일본의 35~55세 인구가 1990년 정점을 찍었다. 그 후 중앙은행이 금리도 올리고 35~55세 인구가 줄어들면서 주택 가격이 폭락했다. 일본 사람들은 집을 투자재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집값이 폭락하고서 2년 후부터는 집은 투자재가 아니라 소비재, 즉 집은 단순히 사는 곳이라는 식으로 인식이 바뀌었다. 우리나라의 인구 추세도 일본과 유사하다. 

 

p.211

국민연금의 수익률이 높은 이유는 자산배분 때문이다. 사전에 정해놓은 주식 투자비중을 맞추기 위해 주가가 오를 때 팔고 떨어질 때 사야 한다. 그러니 당연히 수익률이 높을 수밖에 없다. 

 

 p.213

주식시장에서 돈 버는 방법은 그냥 좋은 주식을 오래 가지고 있는 것이다. 

구조적으로 저금리 시대로 들어가므로 배당 투자는 꼭 해야 한다. 

반응형

'2022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9] 이만큼 가까이  (1) 2022.09.21
[058] 행운에 속지 마라  (0) 2022.09.17
[056] 대통령의 글쓰기  (0) 2022.09.06
[055] 보건교사 안은영  (1) 2022.09.04
[054] 긴축의 시대  (0) 2022.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