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년

[039] 패자의 게임에서 승자가 되는 법

반응형

   

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

「매년 100권 독서 프로젝트」 추진하고 있는 '책 읽는 아빠'입니다.

 

이 책의 저자 찰스 엘리스는 월가의 구루들이 스승으로 모시는 전문가이자 예일대 투자위원회 위원장, CFA협회장 등을 역임한 분입니다. 이 책의 추천사는 얼마 전 타계한 예일대의 전설적인 최고투자책임자(CIO)인 데이비드 스웬슨이 썼네요. 

 

저자의 주장을 간단히 요약하자면,

 

저비용 인덱스 펀드에 장기 투자하라. 직접 투자에 필요한 시간과 노력을 자신과 가족을 위해서 사용하라.

인덱스 펀드 투자만으로 당신은 승자가 될 수 있다. 


주옥같은 내용이 너무 많아서 직접 인용해 보고자 합니다.


<시장 곳곳에 도사린 위험들>

 

p.29

수많은 기관투자자들이 오늘날 시장을 능가할 수 있다는 기본 가정을 틀렸다. 오늘날에는 기관 투자자들이 바로 시장이다. 문제는 시장이 아니라 당신이다! 

 

p.39

장기적으로 승자가 되기 위해서는 현실적인 목표를 세우고 그 목표를 달성해줄 만한 합리적인 투자 정책을 개발하는 데 집중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진정한 승자의 게임을 누릴 수 있도록 그러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이행하는데 필요한 자기 수양과 불굴의 의지를 갖추어야 한다. 

 

p.59

번개가 치더라도 시장에 머물러 있어야 한다. 적절한 투자 시점을 노리는 투자는 정말 위험한 생각이다. 절대로 시도하지 마라. 

 

p.78

10대 아이들을 키우는 일처럼 투자는 차분히 인내심을 유지한 채 장기적 관점으로 목표를 지속해야 이익을 얻는다. 투자의 가장 큰 리스크는 투자자의 단기적인 행동이다. 그렇기 때문에 '너 자신을 알라'는 말이 모든 투자자에게 가장 중요한 규칙이 된다.

 

p.82

주식시장은 세계 최대의 예측 시장으로, 독자적인 다수 전문가들이 최선을 다해 전망하고 자신의 추정치를 뒷받침하기 위해 실제 자금뿐만 아니라 전문가라는 명성까지 내건다. 당신이 인덱스 투자를 한다면 당신을 위해 일하는 투자자 드림팀의 도움뿐 아니라, 마음의 평화까지 얻을 수 있다. 


<실패를 승리로 바꾸는 게임의 룰>

 

p.114

그들을 이길 수 없다면, 그들과 한편이 되어라. 인덱스 투자가 훨씬 유용한 이유는 당신의 시간과 에너지를 쏟을 자유가 생기기 때문이다. 

 

p.155

주가 변동에 대해서는 진짜 그다지 신경 쓰지 말아야 한다. 주가 변동이 흥미로울 수는 있지만, 이는 폭풍우가 치는 먼 곳의 날씨 또는 공해상의 썰물만큼이다 당신과 아무 상관 없다. 최선의 해답은 주가 변동을 무시하면서 참을성과 끈기 있는 장기 투자자가 되는 것이다. 


<남다른 혜안이 남다른 성공으로 이끈다> 

 

p.177

승리하는 투자자는 남들과 경쟁하는 게 아니라 자신과 경쟁한다.


 

<도박이 아닌 투자에 집중하라>

 

p.225

상승세 시장에 덩달아 흥분하거나 하락하는 시장 때문에 괴로운 자신을 발견했다면 투자를 중단하라. 산책하러 나간 후 마음을 진정시켜라. 점잖은 무시야말로 장기 투자에 성공하는 비결이다. 

 

p.245

오늘날의 주식시장 가격이란 매일 성실하고 독립적이며 경험이 풍부하며 정보를 충분히 파악한 투자 판단 전문가들이 내놓는 '가격 대 가치'에 대한 전문가 추정치들을 모두 종합한 것이다. 그 결과물은 세계 최대의 '예측 시장'이다. 

 

p.263

1년에 하루를 '투자의 날'로 골라서 매년 그날이면 몇 시간 정도 차분히 질서 정연하게 다음 질문에 글로 답할 것을 서약해 보자. 

 

p.265

장기 투자 정책에 대한 기본적인 결정을 신중하고 엄격하게 내린 후 이를 그대로 유지하라. 투자와 자본 시장의 특성을 이해해야 당신은 역설에서 벗어날 수 있다. 


<완벽한 성공을 위해 챙겨야 할 이야기>

 

p.305

시장을 이기고자 하는 패자의 게임에서 승리하기는 쉽다. 즉, 패자의 게임을 안 하면 된다. 시장 현실에 부합하면서도 당신이 유지할 수 있는 장기 목표와 그 목표에 어울리는 괜찮은 투자 정책을 정확하게 정의하고 고수하는 승자의 게임에 집중하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