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애독자 여러분
「매년 100권 독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는 '책 읽는 아빠'입니다.
드디어 읽었습니다. 그 유명한 유발 하라리 교수의 <사피엔스>를 설 연휴를 이용하여 읽었습니다. 600 페이지에 달하는 두꺼운 책을 읽은 것과 더불어 유발 하라리의 작품을 접했다는데 매우 기쁩니다.
이 책은 호모 사피엔스가 어떻게 세상을 지배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해답을 찾는 이른바 빅 히스토리 서적입니다. 약 3만 년 전까지만 해도 지구상에는 호모 사피엔스, 호모 에렉투스, 네안데르탈인 등 몇 종의 호모(사람)가 있었지만, 호모 사피엔스만 살아 남았습니다. 호모 사피엔스는 다른 인류를 멸종시켰을 뿐만 아니라 대형 동물들도 거의 멸종시켜 버립니다. 호모 사피엔스는 수많은 종을 멸망시켜버린 그야말로 가장 치명적인 종입니다.
그럼, 왜 호모 사피엔스가 세상을 지배하게 되었을까요? 그 이유는 호모 사피엔스는 다수가 유연하게 서로 협력할 수 있는 유일한 동물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동물들로 물론 협력을 할 수 있지만 이는 소규모에 국한됩니다. 하지만, 사피엔스는 공동의 목표와 이익이 있다면 모르는 사람과도 협력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습니다. 저자 유발 하라리 교수는 사피엔스만 이 같은 협동이 가능한 것은 상상 속에서 존재하는 것들을 믿을 수 있는 독특한 능력이라고 설명합니다. 즉, 사피엔스는 종교, 정치 체계, 법적 제도, 자본주의 체계, 화폐 등 실재하지 않는 것들을 상상하고 믿을 수 있습니다.
사피엔스는 3대 혁명 - 인지혁명, 농업혁명, 과학혁명 - 을 통해 세상의 지배자로서 위치를 공고히 다져왔습니다. 인지혁명을 통해 사피엔스는 언어를 사용하고 집단과 집단 간의 협력이 가능해 졌습니다. 12,000년 전 농업혁명을 통해 수렵채집에서 농업으로 전환하면서 한 곳에 정착하기 시작했습니다. 약 5백년 전에 시작된 과학혁명은 제국주의와 자본주의의 성장, 산업혁명 및 정보혁명을 초래하였습니다.
유발 하라리 교수는 3대 혁명을 통해 엄청난 기술의 진보와 경제의 성장을 이루어 왔지만, 불평등은 심화되고 행복도는 높아지지 않았다고 주장합니다. 한강이 내려다 보이는 대형 아파트에 사는 대기업 임원이 중세시대 농장과 돼지 우리가 보이는 오두막에 사는 농부보다 행복할까요?
저자는 행복은 외부 환경 보다는 내면의 생화학 시스템에 달려 있다고 말합니다. 사람의 행복은 신체 내부의 신경, 뉴런, 시냅스 그리고 세로토닌, 도파민, 옥시토신 등의 다양한 생화학 물질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 책의 마지막은 빅 히스토리에 대한 간결하고 명쾌한 설명에 비하면 다소 실망스러운데요. 사피엔스는 능력이 놀라울 정도로 커졌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스스로의 목표를 확신하지 못하고 있으며 예나 지금이나 불만족스러워하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사피엔스는 3대 혁명을 통해 지구의 주인이 되었지만, 과거 어느 때보다도 무책임합니다. 사피엔스는 동물들과 주의 생태계를 황폐하게 만듭니다. 사피엔스는 오로지 자신의 안락함과 즐거움 이외에는 추구하는 것이 거의 없지만, 그럼에도 만족하지 못하는 존재입니다. 현재 사피엔스는 생명 연장을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 중입니다. 언젠가 사피엔스는 생명공학 혁명을 통해 영원히 살 수 있는 사이보그로 대체될 것이라는 것이라고 유발 하라리 교수는 주장합니다. 이 부분은 좀 동의하기 힘듭니다. 여러분 생각은 어떠신가요?
유발 하라리 교수의 돈에 대한 설명은 매우 명쾌합니다. 돈은 사피엔스가 발명한 최고의 상품으로 언어나 법, 문화, 종교, 사회적 관습 등과 상관없이 공동의 협력을 이끌어 냅니다. 인간이 창조한 신뢰 시스템 중 유일하게 거의 모든 문화적 간극을 메울 수 있습니다. 돈은 문화, 성별, 종교, 인종, 연령, 성적 지향을 근거로 사람을 차별하지 않는 유일한 신뢰 시스템입니다.
제가 보기에 유발 하라리는 무신론자입니다. 그는 불교 철학에 매료되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왜냐하면 현재 종교 중에 거의 유일하게 신의 존재를 상정하지 않은 종교는 불교이기 때문이죠. 불교에서 번뇌의 근원은 고통이나 슬픔에 있지 않습니다. 번뇌의 진정한 근원은 순간적인 감정을 무의미하게 끝없이 추구하는 데 있습니다. 이 때문에 우리는 항상 긴장하고, 동요하고, 불만족스러운 상태에 놓입니다. 인간은 이런 것을 추구하기 때문에 결코 만족하지 못하고, 기쁨을 느낄 때조차 만족스럽지 않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이 번뇌에서 벗어나는 길은 이런저런 덧없는 즐거움을 느끼는 것이 아니라 이 모든 감정이 영원하지 않다는 속성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갈망을 멈추는 데 있습니다. 이것이 불교 명상의 목표입니다. 명상을 할 때 자신의 몸과 마음을 깊이 관찰하여 모든 감정이 끊임없이 일어나고 사라지는 것을 목격하며, 그런 감정을 추구하는 것의 덧없음을 깨달아야 합니다. 그런 추구를 중단하면 마음은 느긋하고, 밝고, 만족스러워집니다.
<사피엔스>는 우리 인류가 어떻게 오늘날의 사회와 경제를 이루었는지 한 권의 책으로 알려주는 인류 문명에 대한 거대한 서사이자 행복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는 책입니다.
저자 유발 하라리 교수는 이 책의 결론을 마치 다음 저작 <호모 데우스>를 염두해 둔 듯 마무리합니다.
"스스로 무엇을 원하는지도 모르는 채 불만스러워하며 무책임한 신들, 이 보다 더 위험한 존재가 있을까?"
'2021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013] 경쟁 우위 전략 (0) | 2021.03.06 |
---|---|
[012] 그림의 힘 (0) | 2021.03.06 |
[010] 빌 캠벨 실리콘 밸리의 위대한 코치 (0) | 2021.02.12 |
[009] 모닝스타 성공투자 5원칙 (0) | 2021.02.11 |
[008] 주식시장을 이기는 작은 책 (0) | 2021.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