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년

[019] 통섭과 투자

반응형

 

「책 읽는 아빠」의 2022년 열아홉 번째 독서

 

이 책의 저자 마이클 모부신은 미국 Bluemountain Capital Management사의 리서치 센터장이다. 그는 업계 출신이지만 그의 글은 교수의 글 같다. <통섭과 투자>에서 저자는 심도있는 이론과 실제 사례 분석을 풍부하게 제시하고 있다. 참고문헌도 수도 없이 많다. 저자의 박학다식을 뽐내는 책으로 손색이 없다. 다만 너무 백과사전식으로 나열되어 있어 집중도가 떨어지는 면도 있다.

 

이 책의 원제는 <More than you know: Finding financial wisdom in unconventional places>다. 원제처럼 세상에는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지혜가 숨겨 있다. 그럼 저자가 가르쳐주는 지혜를 공부해 보자. 


p.25

투자철학이 부실하면 장기 실적도 부실해질 수밖에 없다. 그러나 투자철학이 아무리 훌륭해도 절제력과 인내심이 없으면 아무 소용 없다. 훌륭한 투자 철학은 훌륭한 다이어트와 같다. 장기간 고수해야만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투자 철학에서 실제로 중요한 것은 지능이 아니라 기질이다. 어떤 경우에도 적절한 기질이 높은 지능보다 더 중요하다. 일단 투자 철학을 확고하게 정립하면 이후에는 배우고, 노력하며, 집중력을 유지하고, 인내심을 발휘하면서 경험을 쌓으면 된다. 

 

p.48

주가는 내재가치가 이미 반영되어 있는 편이라서, 기대 이상으로 좋은 실적이 발표되더라고 주가는 별로 상승하지 않는다. 그러나 시장의 기대를 충족하지 못하면 주가는 급락한다. 기대를 충족할 확률이 높지만, 기댓값은 마이너스다. 

 

p.61

위험과 불확실성은 어떻게 구분해야 할까?

위험은 결과를 알 수 없지만 결과의 분포는 아는 경우다. 불확실성은 결과를 알 수 없고 결과의 분포도 알 수 없는 경우다. 예컨대 룰렛과 블랙잭 같은 게임은 위험한 반면, 전쟁의 결과는 불확실하다. 위험은 객관적 확률이고, 불확실성은 주관적 확률이다. 


p.111

스트레스에 시달리다 병원에 가면 의사들이 으레 열거하는 처방이 있다. 지인들에게 도움을 청하고, 운동을 충분히 하며, 건강에 좋은 음식을 먹으라는 것이다. 그러면 투자 과정에서 스트레스를 받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 답은 장기적 관점을 유지하도록 노력하는 것이다. 

 

p162

주가에는 시장의 집단적인 기대가 반영되어 있으며, 어떤 개인이 보유한 정보보다도 많은 정보가 반영되어 있다. 


p.171

투자자들이 혁신의 과정을 알아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가 누리는 모든 물질적 행복은 혁신에 크게 의존한다. 둘째, 혁신은 창조적 파괴에 뿌리를 두고 있다. 즉, 창조적 파괴 과정을 통해 새로운 기술과 산업이 다른 것들을 대체한다. 더 빠른 혁신은 더 많은 기업의 흥망을 의미한다. 

 

p.226

무형자산 비중이 증가하면 PER이 더 높아진다. 투자를 비용으로 처리하는 기업은 이를 자본화하는 기업보다 순이익 대비 현금흐름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이를 뒷받침한다. 이는 장기 추세로 보인다. 


p.294

1980~2006년 동안 기술주 2,000종목이 신규상장되었지만, 2조 달러 이상의 부를 창출한 기업은 5%에 불과하다. 소규모 이익을 낸 기업은 많았지만, 대박을 터뜨린 기업은 매우 드물었다.

 

p.301

시장을 이해하려면 시장이 복잡계라는 점을 알아야 한다. 시장은 지식, 자원, 동기가 모두 다른 다양한 투자자들의 상호 작용을 반영해 움직인다. 따라서 개별 투자자의 의견에 지나치게 초점을 맞추면 수익을 내기 쉽지 않다. 

 

p.310

인과관계를 밝히려는 인간의 타고난 욕구를 충족하기에 주식시장은 적당한 곳이 아니다. 시장의 움직임에 대해 투자자들이 명백한 이유를 알아내기는 어렵다. 조간신문에 실린 전날의 주식 시황은 그냥 재미로 보라. 결코 공부할 내용은 아니다. 

 

 

p.340

다섯 가지 질문을 던져라.

1. 수익성이 나쁜 이유를 고민하라.

2. 예상치 못한 실적 변화를 찾아라.

3. 수익성이 얼마나 지속될지 판단하라.

4. 전략이 중요하다.

5. 임원이 어디서 근무하는가?

 

 

시장에서는 가치 기준에 맞춰 주가가 변동되는 것이 아니라, 주가에 맞춰 가치 기준을 수정한다. 사람들은 원칙에 근거하지 않고 남의 행동에 영향을 받아 가치 기준을 정한다. 
- Benjamin Graham -
반응형

'2022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021] 표백  (0) 2022.03.17
[020] 서울 자가에 대기업 다니는 김 부장 이야기  (0) 2022.03.17
[018] 구해줘  (1) 2022.03.12
[017] 센 강의 이름 모를 여인  (0) 2022.03.01
[016] 당신은 이렇게 죽을 것이다  (0) 2022.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