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년

[045] 오직 두 사람

반응형

「책 읽는 아빠」의 2023년 마흔네 다섯 번째 독서

 

이번 추석 연휴는 김영하 소설로 때우고 있다. 6일 연휴가 벌써 절반이 지나가고 있다. 연휴 전날부터 읽기 시작한 김영하 단편소설을 오늘도 읽고 있다. <오직 두 사람>은 2017년에 발간된 김영하 작가의 단편소설집이다. 그럼 각 단편소설 별로 짧은 감상평을 적어본다. 

 

<오직 두 사람>

아빠와 딸의 이야기다. 1남 2녀 중 유독 큰 딸만을 사랑했던 아빠와 과분한 아빠의 사랑을 짊어지고 사는 큰 딸의 이야기다. 다섯 명의 가족 중에 오직 두 사람에게멘 초점을 맞춘 소설이다. 아버지의 집착은 가정의 화목을 파괴하고 결국 자신도 파괴시켰다.

"언니는 내가 아빠한테 버림받았다고 생각하는구나. 그런데 어쩌지? 내가 아빠를 버린 거야."

 

<아이를 찾습니다>

마트에서 아이를 잃어버리고 조현병에 걸린 엄마와 일용직으로 근근이 살아가는 아빠의 이야기다. 아이를 납치한 여자는 십여 년간 엄마로 행세하고 아이는 그녀를 친엄마라고 생각한다. 잃어버린 아이가 십여 년 만에 집으로 왔을 때 가정은 오히려 행복하기보다는 불행의 구렁텅이로 빠진다. 누구나 이 이야기가 자신에게 일어난다면 정말 끔찍한 일이 아닐 수 없다. 큰 아이가 다섯 살 때쯤 해수욕장에서 잃어버릴 뻔한 적이 있다. 생각만 해도 아찔하다. 

"지나간 걸 어떻게 바꿔요? 누가 잘못을 했든 지금까지 이렇게 살아온 거잖아요? 그러니까 그냥 살면 안 돼요?"

 

<인생의 원점>

사랑과 폭력, 그리고 삼각관계까지 어루어진 끔찍한 이야기. 

"여자나 패는 개새끼. 넌 곧 죽을 거다. 똥오줌도 못 가리고 이렇게 평생 누워 있거나...."

 

<옥수수와 나>

소설가와 출판사 사장 간의 이야기를 그린 소설이다. 소설가의 열렬한 팬인 출판사 사장은 좋은 작품을 써달라고 애원하면서 그의 뉴욕 아파트를 빌려 준다. 그 아파트의 소유자는 출판사 사장과 별거 중인 미모의 여성이다. 소설가는 그녀와 뜨거운 사랑을 나누면서 초인적인 힘으로 불과 며칠 만에 소설을 완성한다. 김영하 특유의 성적 묘사가 뛰어난 작품이다. 

"음란하고도 난해하면서 매우 실험적인 이 소설의 서두는 주인공 남자가 뉴욕의 차이나타운에 머물며 기괴한 성적 모험을 시작하는 장면이었다. 단편소설 한 편 분량인 원고지 백 매 정도를 정신없이 써 갈기고 시계는 보니 고작 두 시간이 지나있었다."

"나는 그녀를 향해 몸을 던졌다. (중략) 나의 손은 그녀의 몸 곳곳을 애무하면서 해독 불가능한 문장들을 무수히 그녀의 몸에 입력해 넣었다."

 

<슈트>

이 단편은 별 재미는 없었다. 

"두 사람, 피터의 양복을 입어보는 게 어때요? (중략) 그걸 입어보고 더 잘 맞는 사람이 일단 유골을 가져가는 거예요."

 

반응형

'2023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